개발노트

게임 서버·NAS 연결을 위한 포트포워딩 설정법 (윈도우 & 맥)

Happy._. 2025. 6. 24. 16:06
반응형

외부에서 내 컴퓨터, NAS, 또는 게임 서버에 접속하고 싶은데 접속이 안 되는 경우가 많다.
이럴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이 바로 포트포워딩 설정과 방화벽 허용이다.

이 글에서는 윈도우와 맥 환경에서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과 방화벽 허용 방법단계별로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.

 

1. 기본 게이트웨이 및 IP 주소 확인

▸ Windows

1. cmd 또는 명령 프롬프트 검색 후 실행

2. ipconfig 입력 후 엔터 > 기본 게이트웨이 및 IPv4 주소 확인

  • Wi-Fi를 사용 중인 경우: 무선 LAN 어댑터 쪽에 표시
  • 유선으로 연결 중인 경우: 이더넷 어댑터 쪽에 표시

▸ Mac

[설정] > [네트워크] > [Wi-Fi] > 연결된 네트워크의 설정(...) > 하단의 라우터(기본 게이트웨이) 및 IP 주소 확인

 

 

2. 포트포워딩 설정

▸ 공유기 로그인

브라우저 주소창에 게이트웨이 번호를 입력 > 사용자ID, 비밀번호 입력 후 로그인

  • 사용자ID: admin
  • 비밀번호: xxxxxx_admin

※ xxxxxx 자리에 공유기에 적혀있는 유선MAC의 뒤 6자리 수 입력

 

▸ 포트 설정 입력 방법​

[고급설정] > [NAT/라우터 관리] > [포트포워드] > 포트 관련 설정 후 [추가] > 포트포워드 활성 체크 > 저장 후 적용

  • 외부 포트 범위: 외부에서 접속 시 사용할 포트 번호
  • 내부 IP 주소: 게이트웨이 번호와 같이 확인한 IPv4 주소 입력
  • 내부 포트: 내 PC에서 외부 포트와 매칭할 포트 번호(외부 포트 번호와 일치할 필요 X)
  • 프로토콜: 사용할 프로토콜 지정, BOTH는 TCP+UDP

※ 설명 생략 가능

 

3. 방화벽 설정

▸ Windows 방화벽

1. [제어판] > [시스템 및 보안] > [Windows Defender 방화벽] > [고급설정]

2. [인바운드 규칙] > [새 규칙...]

3. 인바운드 규칙 마법사에서 다음과같이 체크(포트 번호는 외부 연결을 허용할 포트 번호로 입력)

※사용자와 컴퓨터 권한 부여는 PASS

※이름, 설명은 알기 쉽게 작성

▸ Mac 방화벽

[설정] > [네트워크] > [방화벽] > [옵션] > 들어오는 연결을 허용할 응용프로그램 선택

위 설정을 마치면 외부에서 공인IP주소:외부포트번호로 접속 가능

 

4. 외부 접속 테스트 및 공인 IP 확인

  • 네이버에서 IP주소로 검색

  • 브라우저에 기본 게이트웨이 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했을 때 [홈] 또는 [기본 설정] > [인터넷 연결 정보]에서 WAN 정보(상태) 중 IP주소를 확인

 

5. 접속 안 될 때 확인할 점 (문제 해결)

  • 위 설정 후에도 외부에서 접속이 안되는 경우 메인 공유기가 아닌 서브 공유기에만 포트포워딩 설정이 되있을 확률이 높음(메인 공유기도 포트포워딩 설정 필요)
  • WAN IP주소가 192.168.xxx.xxx로 되어 있으면 메인 공유기가 아니므로 공유기에서 공인IP주소 확인 불가
    • WAN IP주소의 기본 게이트웨이로 접속해 로그인 후 WAN IP를 확인 > 공인IP주소와 일치하면 메인공유기
반응형